절삭 저항은 공작물을 절삭할 때 절삭 공구가 가공물로부터 상대적으로 받는 힘이다. 여기에는 서로 직각 방향으로 작용하는 3가지 힘, 주분력, 이송력, 배분력이 있다. 절삭 저항 크기는 경도와 연관된 공작물 재질뿐만 아니라 공구의 기하학적 형상, 절삭유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절삭 저항은 공구 수명, 표면 거칠기, 변질층 등에 영향을 준다.

3분력
외경 선삭 가공에서는 절삭 저항을 3개의 분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분력은 회전축과 직각 방향의 분력, 즉 절삭 방향과 평행한 분력이다. 전체 절삭 에너지의 99%가 주분력을 극복하고 절삭 가공을 수행하는데 사용된다. 절삭 저항 3분력 가운데 가장 큰 저항으로 일반적으로 절삭 저항은 주분력을 말한다.
이송력은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의 분력이다. 이송 속도는 절삭 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리기 때문에 전체 절삭 에너지의 약 1% 정도를 차지한다. 공구의 바이트 마모 및 파손이 발생하면 이송력이 급격하게 증가한다.
배분력은 절삭 깊이 방향의 분력이다. 공구 형상과 절삭 조건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소비 에너지는 없지만 날이 무디면 소음이 커지는 채터링 현상이 발생한다.
변화 요인 | 절삭저항 크기 변화 |
---|---|
단단한 재질 | 증가 |
공구의 큰 경사각 | 감소 |
큰 절삭 면적 | 증가 |
빠른 절삭 속도 | 감소 |
절삭유 사용 | 감소 |